연사
-
디지털 메가트렌드의 경제적 영향 분석과 대응전략 모색: Twin Transformation을 중심으로
김도훈
정보통신정책학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약력
김도훈 교수는 현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에 재직하고 있으며, Univ. of California Santa Cruz와 Univ. of Pennsylvania에서 Fulbright Scholar로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였으며(계산통계학 부전공),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에서 경영과학으로 석사학위를, 경영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및 최적화, 네트워크 분석, 게임이론 등을 활용하여 정보통신미디어 생태계를 분석한 연구를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 Applications, IEEE Network, Annals of Telecommunications 등의 국제학술지에 게재하고 있으며, 정보미디어 및 통신 기업과 연구소 등과 관련 컨설팅과 프로젝트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복잡계학회 회장과 한국경영과학회 부회장을 역임 중이다.
요약문
정보미디어통신(TMT) 부문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를 거치면서 관련 기술 발전 및 산업 진화에 따라 역할을 달리한다. 그 역할 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디지털 전환에 따라 TMT 부문이 중간재로 투입되는 비중이 점차 확대·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국가정책에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즉, TMT 부문에 대한 과도한 규제는 오히려 전방향에 있는 여러 응용서비스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지금까지 TMT 부문이 타 산업을 견인할 것으로 가정한 정책적 투자가 많았지만, 이제는 TMT 부문의 전방연쇄효과를 최대한 활용할 방안에 대한 논의가 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디지털 전환이 심화·확산될수록 TMT 부문이 제공하는 여러 기술과 서비스가 모든 산업에서 필수 투입요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디지털 대전환 시대 가상-현실세계 융합과 초연결기술
홍인기
한국통신학회 수석부회장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약력
홍인기는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으로 차기 한국통신학회 회장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주파수 자문 위원장, 5G 포럼 주파수 위원장, 위성통신 주파수 위원장, 5G 기반 스마트공장 포럼 위원장, 한국통신학회 6G RI 위원장, IEEE VTS Seoul Chapter 위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 자문위원, 국무조정실 주파수 심의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연세대학교에서 공학사, 공학석사,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SK Telecom, NTT DoCoMo 연구원, Oregon 주립대 방문교수 등을 지냈다. 그는 국내외 여러 저널과 학술대회에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고, 과학기술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표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 대한민국 근조포장을 수상한 바 있다. 관심 분야는 4G/5G/6G 이동통신을 포함하여 smart connectivity 그리고 소프트웨어 기반 통신 기술에 이른다.
요약문
디지털 전환은 이제는 필수적인 발전 방향으로 자리 잡았고 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고 활용하는가가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기술 요소들의 현황과 미래 전망에 대한 분석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더욱이 기술 패권이 중요해 진 세상에서 주요 기술에 대한 이해와 준비는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중요시 되는 5G+/6G 이동통신, 양자인터넷, 클라우드, 위성통신, UAM/UAV 기술 등에 대한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는 데에 따른 현실-가상 세계의 강력한 결합이 산업과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대한 고려를 위하여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의 두 가지 흐름에 대하여 논의한다.
-
디지털 전환에 따른 노동 변혁과 삶의 질
강정한
한국사회학회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약력
강정한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지털 전환이 가져오는 사회경제적 파급력과 연구방법론적 혁신을 연구중이다. 서울대학교 수학과에서 학사를, 사회학과에서 석사를 받았으며 시카고대학 사회학과에서 박사를 받았다.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및 방문교수, 한국과학기술원 방문교수 등을 지냈다. 현재는 사회적가치연구원과 ESGame을 통해 국민들의 사회적 가치 지향의 유형을 구분하는 조사방법을 개발중이다.
요약문
디지털 전환은 노동형태와 삶의 질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본 발제는 플랫폼 노동 및 삶의 질을 구성하는 기회와 위협 요인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변화를 살펴보고, 공동번영을 위한 효과적 정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플랫폼 노동의 확대는 노동을 탈숙련화시키며 노동자의 소속 불확실성을 높일 위험이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안정적 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제도를 갖추는 것이 공동번영의 필요조건이다. 다음으로 국민들은 디지털 전환이 삶의 질 구성요소 중 경제적 효율성 및 건강 증진 기회, 개인정보 침해 위험, 일자리 및 소득 위협, 디지털 복지 및 시민사회로부터의 소외 등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여, 이러한 차이에 따른 맞춤형 정책 대응이 공동번영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
인간-AI 협업기반 지능형 정부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문명재
한국정책학회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언더우드특훈교수
약력
문명재 교수는 현재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언더우드특훈교수 그리고 미래정부연구센터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사회과학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1998년에 Syracuse University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콜로라도주립대 행정대학원, 텍사스주립대 부시행정대학원 그리고 고려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재직하였다. 영국에 기반한 국제비영리단체인 Apolitical이 발표한 디지털정부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정부혁신 공로를 인정받아 2020년 홍조근정훈장을 수상하였다. 2019년부터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장과 감염병연구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아시아개발은행(ADB) 디지털고위급자문위원회와 대통령직속디지털플랫폼정부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요약문
본 발표는 한국정책학회가 수행한 2022년도 메가트렌드 연구주제인 인간-AI 협업기반 지능형 정부의 모습을 예측하고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파악하는 한편 인간-AI 협업기반지능형 정부의 구축과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국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전문가 기반의 AHP조사, Q방법론을 활용한 미래에 대한 인식탐색, 그리고 시나리오 기법의 적용 등 다양한 자료와 방법론을 기반하여 인간-AI 협업기반 지능형 정부의 미래를 전망한다. 특히 성공적 인간-AI 협업을 위한 원칙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향후 인간-AI 협업기반 지능형 정부의 구축과 운영 방안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과 추진방안을 제시한다.
토론자
-
이희정
정보통신정책학회장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약력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서, 주요 연구분야는 행정법(Administrative law), 규제법, 정보통신법 등이다. 최근에는 망중립성, 플랫폼규제, 개인정보보호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2020. 8월부터 출범한 독립규제기관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비상임위원과 ICT 정책 융합학회인 정보통신정책학회(Korea Association for Telecommunications Policies) 회장, 데이터법정책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
신요안
한국통신학회장
숭실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교수
약력
신요안은 숭실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오스틴) 전기및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공부를 마친 후 미국 오스틴에 소재한 MCC (Microelectronics & ComputerTechnology Corp.) 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그 이외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의 방문교수 경력이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 지능형 신호처리 등의 영역에 관해 연구하고 강의한다. 숭실대학교 연구산학협력처장 겸 산학협력단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숭실대학교 기획조정실장을 맡고 있다. 한국통신학회 부호및정보이론연구회, 이동통신연구회, 군통신연구회, 공공안전융합기술연구회의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22년 현재 한국통신학회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
약력
한준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조직사회학, 디지털사회, 삶의 질을 연구하고 강의해 왔으며,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사회학회장을 맡고 있다. 최근 저서 “사회 안의 조직, 조직 안의 사회”를 출간하였고, 공저인 “플랫폼 임팩트 2023”이 출간 예정이다.
-
약력
나태준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서 공공관리, 환경정책, 갈등관리를 전공분야로 하고 있다. 한국국정관리학회장,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으며, 2022년 현재 한국정책학회장과 환경부·문체부·교육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Policy Analysis in South Korea (forthcoming, Policy Press), The Oxford Handbook of Governance and Management for Social Policy (forthcoming, Oxford University Press) 등을 통해 한국의 공공정책을 널리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