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사
-
지속가능한 생태계 디자인을 통한 우리나라 디지털 전환 산업 경쟁력 강화
김연성
한국경영학회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약력
김연성 박사는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경영학회 2024년 학회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민은행경제연구소 중소기업연구실장, 한국품질경영학회 회장, 한국생산관리학회 회장, 인하대학교 기획처장, 연구처장, 산학협력단장, LINC사업단장, 정석학술정보관장 등을 역임하였다. 글로벌 수준의 민간 기업과 공공기관 및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강연과 경영 자문을 하고 있고, 대통령 표창장과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저서와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선정 저서를 포함한 40여 권의 저역서와 90여 편의 국내외 공인학술지 논문이 있다.
요약문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전략적 변곡점에서 필요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정부와 산업계 그리고 기업에게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 디자인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하나의 제안이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디지털 격차의 분석과 개선방안,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우수 기업 사례 조사와 분석, 디지털 전환 격차와 격차 분석, 디지털 전환 지원 정책 조사 및 분석,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디지털 전환 플랫폼 구축 방안과 정책 제안 등이다.
-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차세대 보안 기술
홍지만
한국정보과학회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교수
약력
홍지만은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5년부터 미국 컴퓨팅 학술단체인 ACM의 융합응용그룹(SIGAPP) 회장을 맡고 있으며, ACM 및 IEEE 주최 컴퓨터관련 저명 국제학술대회에서 General Chair, Program Chair, Poster Chair 등을 수십 차례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22년 현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부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운영체제, 시스템 보안, IoT 등이다.
요약문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와 비교하였을 때, 사이버 보안 시장의 양적 규모가 과거와 비교하여 상당히 빠르게 성장했으나 국내 사이버 보안 기업들의 규모는 대체로 크지 않으며 보안 솔루션의 개발이 회사별로 파편화되어 통합하기 힘든 구조로 되어 있어, 신기술 개발과 보안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 본발표에서는 국내외 사이버 보안 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플랫폼의 신뢰성 제공을 위한 차세대 사이버 보안 기술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현재 사이버 보안 기술과 미래 사이버 보안 기술 수준을 정의하고 미래 기술 수준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및 규제,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디지털 대전환 시대 ICT·반도체 기술 및 인력 양성 전략
김훈
대한전자공학회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약력
김훈은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인천대학교 사물인터넷빅데이터연구센터장, 인천대학교 현장맞춤형 실전문제연구단장 등을 겸하고 있다. 학계에 오기 전에 그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연구원, 그리고 정보통신부 사무관 등으로 재직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에서 공학사를,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ICU) 에서 공학석사,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스탠포드대학교 방문연구원 및 방문 교수를 지냈다. 학문적인 관심 분야는 이동통신, AI, IoT, 그리고 빅데이터 분야에 이른다. 그는 국내외 여러 저널과 학술대회에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고,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기술 및 정책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한전자공학회 상임이사, 인천시 데이터행정기반위원회 부위원장 등 학술 단체와 지역 사회에 봉사하여 왔으며, 다수의 연구개발 및 정책용역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요약문
디지털 대전환을 추동하는 DNA(Data-Network-AI) 기술 및 다양한 융합 분야에 대한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안정적이고 올바른 디지털 전환 지향점을 위한 국가적 전략 마련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AI, 데이터, 메타버스, 자율주행, 반도체 등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는 주요 분야에서의 위험 요소 조사 연구와 미래산업 변화 환경에서의 중장기적 기술 및 인력 양성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특히, 디지털 전환에 소극적인 인식에 대한 제도화 및 실행력 부재, 디지털 자원의 독점 및 접근성 편차에 따른 협업 생태계 기반 취약 등 디지털 공동 번영에 제약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극복하기 위한 추진 방향으로 신뢰와 상생 기반의 디지털 전환 혁신 기술을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토론자
-
한상만
한국경영학회장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약력
한상만은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서 SNS상의 확산전략, 이해관계자 중심경영, 대·중소기업 혁신상생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한국소비자학회장, 한국복잡계학회장, 한국마케팅학회장을 역임하고, 2022년 제67대 한국경영학회장을 맡고 있다. 현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과 국민통합위원회 대중소상생특위 위원, 지속가능경영포럼 이사장, 대한민국 경영자 원탁회의(K-BRT) 공동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경영연구회를 이끌며,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대·중소기업간 혁신상생을 위한 생태계 구축에 대한 정책제언과 연구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심규석
한국정보과학학회장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약력
심규석은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이다. 이전에는 KAIST 전산학과의 조교수로 근무하였고 미국에 있는 휴렛-패커드 연구소, 연방준비위원회, IBM 알마든 연구소, 벨 연구소,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다양한 연구 경험을 쌓았다. 그 동안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마이닝과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심도있는 연구를 하였고 발표한 눈문들은 현재 구글 스칼라 기준으로 총 2만건 이상의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데이터마이닝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질의처리 및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공헌으로 국제적으로 학계에서 인정받아 2013년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가진 국제컴퓨터학회(ACM)의 석학회원(Fellow) 그리고 2019년에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의 석학회원으로 선정되었다.
-
서승우
대한전자공학회장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약력
서승우는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로서 현재 지능형자동차IT 연구센터 소장,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지구 위원회 위원장 및 대한전자공학회장으로서 자율주행 분야의 첨단 기술 연구를 활발히 수행중에 있으며 서울대학교 만도이노베이션랩 및 LG스마트카 공동연구센터 운영책임교수를 역임했고 대검찰청 디지털자문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